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퇴직연금 매수 문의 안녕하세요 6월자로 퇴직하여 퇴금금을 irp 계좌로 받게 되었는데요디폴트옵션은 해지하고 제가

안녕하세요 6월자로 퇴직하여 퇴금금을 irp 계좌로 받게 되었는데요디폴트옵션은 해지하고 제가 직접 상품을 매수하려고 합니다.다만 위험도에 따라서 매수 비율이 정해져있어서 어떻게 매수해야될지 문의드립니다.1. etf - tiger snp500 2. 채권- 이것은 미국 채권을 사고 싶어서 kodex나, ace 미국 채권 10년물? 사려고하는데 정확한 상품 이름을 모르겠어서요 어떤걸 사면 될까요? (이것도 위험자산에 들어가나요?)3. 예금- 퇴직연금신규상품매수 구분으로 들어가면 각 은행/증권사들의 예금상품이 있는데이것도 위험자산에 들어가나요? 가능하면 미래에셋 금리 3%짜리로 매수할 계획입니다.-결론1.etf 50%2. 채권 25%( 미국달러 채권상품이라 이것도 etf 겠네요)3. 예금 25% 이렇게 구성하면 가능할지 문의드립니다!추가로, 채권이나 예금 구매할때 기간이 정해져있잖아요 예를들어 채권 10년물 이라던지, 예금 6년짜리해당 기간을 다 채우면 자동 추가 매수 되나요? 

퇴직금을 IRP 계좌로 받으셔서 직접 운용하시려는 계획이시군요. 디폴트옵션을 해지하고 직접 매수하시는 부분에 대한 질문과 포트폴리오 구성에 대한 문의 주셨습니다. 상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퇴직금, 퇴직연금 차이는? 별도 둘다 병행

퇴직연금 확정급여형(DB)과 확정기여형(DC), 그리고 개인형퇴직연금(IRP) 비교

퇴직금 계산 계산기, 지급기준, 지급기한은?

https://m.site.naver.com/1Moah

1. ETF - TIGER S&P500

* TIGER S&P500은 위험자산에 해당합니다. 해외 주식형 ETF이므로 위험도가 높은 상품으로 분류됩니다.

* IRP 계좌에서 매수 가능합니다.

2. 채권 - 미국 채권 ETF (KODEX, ACE 등)

* 미국 국채 ETF는 위험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채권형 ETF이더라도 시장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동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만기가 긴 10년물 이상 채권은 금리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위험자산으로 간주됩니다.

* 추천 상품:

* KODEX 미국채10년선물: 미국 10년 만기 국채 선물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미국 30년 만기 국채에 투자하며 환헤지(H)가 되는 액티브 ETF입니다.

* TIGER 미국채10년선물: 이 역시 미국 10년 만기 국채 선물 지수를 추종합니다.

* TIGER 미국채30년선물: 미국 30년 만기 국채 선물 지수를 추종합니다.

* 만기물은 본인의 투자 성향과 금리 전망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장기물(10년, 30년)이 금리 변동에 더 민감하여 변동성이 크지만, 금리 하락 시 수익률 상승폭도 큽니다.

3. 예금 - 은행/증권사 예금상품

* 예금(정기예금, ELS/ELF 등 원금보장형 상품이 아닌 일반 정기예금)은 원금보장형 상품이며, 저위험 안전자산으로 분류됩니다.

* 퇴직연금 계좌에서 직접 매수 가능한 은행/증권사 예금 상품들은 일반적으로 IRP 규정상 안전자산 요건을 충족합니다.

* 미래에셋 금리 3% 예금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므로 포트폴리오 구성에 문제없습니다.

결론: 제안하신 포트폴리오 구성 가능성 및 위험자산 비중

제안하신 포트폴리오:

* ETF (TIGER S&P500): 50%

* 채권 (미국 달러 채권 ETF): 25%

* 예금 (미래에셋 금리 3%): 25%

이 구성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위험자산 투자 한도 때문입니다.

IRP 계좌의 위험자산 투자 한도:

* 개인형 퇴직연금(IRP) 계좌에서는 법적으로 총 투자금액의 최대 70%까지만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위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TIGER S&P500 (주식형 ETF)와 미국 달러 채권 ETF는 모두 위험자산으로 분류됩니다.

* 따라서, 1. ETF 50% + 2. 채권 25% = 총 75%가 위험자산이 되어 IRP의 위험자산 투자 한도(70%)를 초과하게 됩니다.

수정 제안:

위험자산 투자 한도를 지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정하실 수 있습니다.

* 위험자산 총합을 70% 이하로 맞춥니다.

* 예시: ETF (TIGER S&P500) 45% + 채권 (미국 달러 채권 ETF) 25% + 예금 30% (위험자산 70%, 안전자산 30%)

* 예시: ETF (TIGER S&P500) 50% + 채권 (미국 달러 채권 ETF) 20% + 예금 30% (위험자산 70%, 안전자산 30%)

* 예시: ETF (TIGER S&P500) 40% + 채권 (미국 달러 채권 ETF) 20% + 예금 40% (위험자산 60%, 안전자산 40%)

추가 질문: 채권 및 예금 구매 기간 및 자동 추가 매수 여부

* 채권 (ETF): 채권 ETF는 만기가 정해진 개별 채권과 달리, ETF 자체에는 만기가 없습니다. 즉, 특정 채권을 추종하며 계속 운용되는 상품이므로 '기간을 다 채우면 자동 추가 매수'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한 계속 운용됩니다.

* 예금 (정기예금):

* IRP 계좌에서 매수하는 예금 상품은 일반 은행의 정기예금과 유사하게 만기일이 정해져 있습니다. (예: 6개월, 1년, 3년, 6년 등)

* 해당 기간을 다 채우면 자동으로 추가 매수(재예치)되지 않습니다. 만기 시에는 현금성 자산으로 IRP 계좌 내에 입금됩니다.

* 따라서 만기가 도래하면 다시 예금 상품을 선택하여 재예치하거나, 다른 상품(ETF, 펀드 등)에 투자해야 합니다. 만기 도래 알림 서비스 등을 활용하여 직접 재투자 결정을 하셔야 합니다.

마지막 조언:

IRP 계좌는 장기적인 노후 자산 마련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므로, 투자하시기 전에 본인의 투자 성향, 은퇴 시점, 시장 상황 등을 충분히 고려하시고, 필요한 경우 증권사의 퇴직연금 담당자와 상담하여 자세한 안내를 받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히 위험자산 비중 제한은 법적인 사항이므로 반드시 지키셔야 합니다.

퇴직금, 퇴직연금 차이는? 별도 둘다 병행

퇴직연금 확정급여형(DB)과 확정기여형(DC), 그리고 개인형퇴직연금(IRP) 비교

퇴직금 계산 계산기, 지급기준, 지급기한은?

https://m.site.naver.com/1Mo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