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님께서 느끼시는 이 피로감과 불안감은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너무나도 자연스럽고 당연한 감정입니다.
이 관계의 핵심은 질문자님과 남자친구분의 관계가 아니라, 그 남자친구분과 어머니의 병리적인 관계입니다. 그리고 이 관계 속에서 질문자님은 또 한 번의 '감정 쓰레기통'이 되는 길목 앞에 서 계신 것이고요.
1. 남자친구분의 어머니는 ‘의존성 성격장애’ 또는 ‘나르시시스트’의 특성을 보입니다
질문자님께서 관찰하신 대로, 그 어머니는:
늘 본인이 피해자이고 세상에서 제일 불쌍하다고 여기며
타인의 감정을 읽지 못하고
아들의 모든 삶을 통제하려 하며
아들이 본인의 기대에 부응하지 않으면 분노로 대응합니다
이것은 단순히 “고집 센 노인”의 수준이 아니라, 정신적 의존의 병적인 형태입니다. 아들은 이미 수십 년간 길들여져 있어서 "NO"를 못하는 상태이고요.
이런 경우, 아들은 자기 인생을 사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본인의 감정조차 어머니에게 검열받고, 죄책감을 가지고 살게 됩니다. 이건 일반적인 ‘효자’의 모습이 아닙니다. 정신적 학대와 감정적 착취가 엉켜있는 병든 관계입니다.
2. 질문자님은 그 병든 관계 속에서 또 한 번의 '희생자'가 되지 않기 위해 경계하고 계십니다
질문자님께서 이전 결혼생활에서 무조건적인 희생, 감정적 착취, 시댁의 요구와 강요 속에서 지쳐서 이혼까지 선택하신 분이시기에, 지금은 훨씬 더 ‘촉’이 빠르게 작동하신다고 느껴집니다.
이런 전적이 있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이건 아니다’라고 느끼고 경계하시는 건 아주 건강한 감각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또다시 ‘설거지 며느리’, ‘감정 쓰레기통’이 되고 싶지 않으신 거예요.
그런데 지금 상황은 남자친구분이 그 어머니로부터 벗어날 의지와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결국 질문자님께도 그 부담이 옮겨올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3. ‘결혼’이 아닌 ‘연애’로 선을 그어야 할 이유는 충분합니다
남자친구분은 정말 좋은 사람일 수 있습니다. 매너 있고, 따뜻하고, 능력 있고, 질문자님을 소중히 여기는 거. 분명 느껴지셨겠지요.
하지만 좋은 남자와 좋은 남편은 전혀 다른 이야기입니다.
결혼은 두 사람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특히 **그 남자의 부모와 얽힌 ‘가족 시스템’**이 어떤 구조냐에 따라, 결혼생활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질문자님은 이미 그 어머니를 너무 잘 봐버리셨습니다.
그 어머니는 자기 아들을 놓지 않을 것이며, 그 아들 또한 어머니의 감정에 휘둘려 살아가고 있는 구조입니다.
결혼을 하게 되면 질문자님도 그 ‘무한 요구의 화살’ 안에 들어가게 될 것이고, 남자친구분은 ‘두 여인 사이에서’ 갈등하다가 질문자님께 상처를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은 질문자님께서 가장 건강한 판단을 하신 겁니다.
‘연애는 괜찮지만, 결혼은 어렵다’는 결론은, 어찌 보면 질문자님의 감정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리스크까지도 고려한 성숙한 선택입니다.
4. 앞으로 어떻게 할 수 있을까?
1) 결혼이라는 단어를 잠정 보류하세요.
남자친구분에게도 “나는 지금 결혼을 생각하지 않는다. 이 관계에서 나 스스로가 지켜지지 않으면, 우리는 함께할 수 없다”고 단호하게 말씀해보셔야 합니다.
2) 그 남자분이 변화할 가능성은 있겠지만, 아주 느릴 것입니다.
이미 50년을 그렇게 살아온 분입니다. 누군가가 강하게 개입하거나, 삶의 전환점(예: 심한 병, 파산, 관계 단절 등)이 오지 않는 이상, 어머니와의 관계는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3) 질문자님께서 이 관계에서 자주 지치고 피로감을 느끼신다면, 멀어지는 것도 하나의 선택입니다.
결혼은 고사하고, 연애조차 감정적으로 너무 큰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면 그것도 건강한 관계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이미 한 번의 큰 경험을 통해 아주 단단하고, 현명하게 살아오셨습니다. 그 덕분에 이 상황의 본질을 누구보다 정확하게 꿰뚫고 계시고요.
사랑은 물론 소중하지만, 질문자님의 마음과 에너지, 인생의 방향까지 소진시켜가며 지킬 가치가 있는 관계인지는 반드시 냉정하게 점검하셔야 합니다. 누군가를 지키기 위해 나를 무너뜨리는 사랑은 결국 모두를 불행하게 만듭니다.
법률 관련 문의는 언제든지 전화 주시면 성심성의껏 도와드리겠습니다.
“법무법인 아이엠 법률 상담 전화번호 010-6551-1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