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귀납이랑 유추 어떻게 구분하나요? 귀납이랑 유추 구분 하는 법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귀납이랑 유추 구분 하는 법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귀납과 유추 구분 방법

구분

귀납(귀납법)

유추(유추법)

구조

개별 사례 → 일반적 결론

특수한 사례 → 또 다른 특수한 사례

결론

보편적, 일반화된 명제

특정 대상에 대한 추정

논증 방식

구체적 사실에서 일반 원리 도출

비슷한 점을 근거로 다른 점 추정

예시

모든 새는 날 수 있다

태국이 벼농사가 잘되니 베트남도 잘될 것

결론의 확실성

개연적(필연성 없음)

개연적(필연성 없음)

  • 귀납:

  • 금붕어는 아가미로 숨을 쉰다.

  • 송사리도 아가미로 숨을 쉰다.

  • → 모든 물고기는 아가미로 숨을 쉰다.

  • 유추:

  • 행랑채의 비가 새는 부분을 수리하지 않으면 재목을 못 쓰게 된다(행랑채).

  • → 사람도 잘못을 바로 고치지 않으면 자기 몸을 망치게 된다(사람).

  • 귀납: 구체적 사례 → 일반적 결론 (일반화)

  • 유추: 특수한 사례 → 또 다른 특수한 사례 (비슷함을 근거로 추정)

이렇게 구조와 결론의 방향을 보면 귀납과 유추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