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미국주식 환전해서 사는거랑 한국껄로 사는거랑 차이점이 있나요? 한국투자 앱을 사용하는데 해외주식을 구매할려면 계좌만들고 환전까지 해야된다는데 제가 한국껄로

한국투자 앱을 사용하는데 해외주식을 구매할려면 계좌만들고 환전까지 해야된다는데 제가 한국껄로 타이거 s&p만 소량씩 사고있는데 환전해서 미국껄로 사야되는걸까요??차이점, 장단점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미국 주식 환전 후 직접 투자와 한국에서 국내 ETF로 S&P500을 매수하는 방법의 차이점에 대해 질문을 주셨네요.

요약하자면, 두 방식은 접근 방법, 투자 편의성, 수수료, 세금, 환율 영향 등 여러 부분에서 서로 다릅니다.

국내 ETF(타이거 S&P 등) 투자 특징

국내 증시에 상장된 S&P500 ETF(예: 타이거 S&P500)는 원화로 간편하게 매수할 수 있습니다.

환전 절차가 필요 없고 앱에서 바로 주문 가능해 소액 투자자나 해외 주식 계좌 개설이 번거로운 분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또, ISA나 연금 계좌를 활용해 절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 이 ETF는 해외 지수를 추종해도 일부 “추적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배당소득세(현재 15.4%)가 부과됩니다.

미국 ETF(VOO, SPY 등) 직접 투자 특징

미국 증시에 직접 상장된 ETF(VOO, SPY 등)를 매수하려면 해외 주식 거래 계좌를 개설하고,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야 합니다.

한국투자 앱에서 환전·매수 모두 가능하지만 환전 수수료가 일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국 ETF는 거래량·운용 규모가 압도적으로 크고,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받는 상품이 많아 추적 오차가 거의 없습니다.

미국 ETF는 양도차익이 250만원 초과 시 22%의 양도소득세를 내야 하는데, 국내 ETF와 세금 체계가 다르니 투자 금액과 목적에 따라 잘 고려해야 합니다.

또 환율이 오른다면 환차익이 생길 수 있지만, 반대로 환율이 떨어지면 그만큼 손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단점 요약

투자 방식

장점

단점

국내 ETF

원화 거래, 간편함, 절세 효과, 환율 무관

추적 오차, 낮은 유동성, 배당소득세

미국 ETF 직접

글로벌 상품, 낮은 추적오차, 거래량 많음

환전 필요, 환율·수수료 리스크, 양도세

조언 및 선택법

  • 미국 ETF 직접 투자 시 장기적으로 환차익·추적오차 없는 매매가 매력적이지만 초기 설정과 환전 등이 번거롭고, 환율·세금 리스크가 있습니다.

  • 국내 ETF로 소액·간편 투자가 가능하며, 절세 상품(ISA, 연금계좌 등)까지 활용하면 추가 이점이 있습니다.

  • 장기 투자와 세금 효율, 환율 전망, 투자 금액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황에 따라 두 상품을 병행하거나, 투자 목적(간편 투자/글로벌 성장)에 따라 선택해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래 내용도 참고하시고 좋은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