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적 차원의 사례
이민 2세대 청소년: 집에서는 부모가 가르친 전통 문화를 따르지만,
학교와 사회에서는 서구의 개인주의적 가치와 마주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나는 누구인가?”, “한국인인가 미국인인가?” 같은
정체성 혼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성소수자 청년: 종교적, 전통적 가정에서 자란 경우, 자신의 성적 지향과
가족,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관 사이에서 충돌을 경험합니다.
2. 사회적 차원의 사례
산업화 세대 vs. 청년 세대
부모 세대: 근검절약, 가족을 위해 희생, 집단 중심 가치.
자녀 세대: 자기실현, 워라밸, 개인의 행복 중시.
직장·가정 내에서 가치 충돌이 발생해 “효도냐, 자기 삶이냐”의 갈등으로 이어짐.
북한이탈주민 : 북한에서 배운 가치관(집단주의, 체제 충성)과 한국 사회의
가치관(자유, 경쟁 중심) 사이에서 정체성 혼란을 겪음.
이로 인해 사회 적응 과정에서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음.
3. 문화적 차원의 사례
다문화 가정 자녀: 한국 사회에서는 “한국인답게” 살라는 요구를 받고,
가정에서는 부모의 모국 문화를 전승받음. 두 세계 사이에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이중문화 스트레스”가 대표적인 정체성 혼란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