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 구조 이해하기
• 파란색 선: 각 방과 거실로 연결된 LAN 포트 라인
• 하단의 선: 전화 회선 라인 (국선)
• 통신사 공유기
• 인터넷 포트 2개 + 전화 포트 2개 = 총 4곳에서 인터넷을 사용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거실에는 와이파이 공유기가 있고, TV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사진의 상단에 빨간색 박스로 표시된 포트(D.IN) 는 인터넷 메인 라인이 입력되는 포트입니다.
2️⃣ 필요한 준비물
• UTP 랜 케이블 (1.5m 정도)
→ 다이소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쉽게 구입 가능
→ 또는 집에 굴러다니는 인터넷 선이 있다면 사용해도 됩니다.
3️⃣ 연결 방법
1. 공유기에서 기존 401번 선을 뺍니다.
• 공유기 뒷면에 있는 인터넷 포트에 연결되어있는 401이라고 표시된 선을 빼세요.
2. 랜 케이블 한쪽은 공유기 포트에, 다른 한쪽은 D.IN 포트에 연결합니다.
• 뺀 자리(공유기 인터넷 포트)에 새 랜선 한쪽을 꽂고,
• 다른 쪽은 단자함의 상단 붉은색 D.IN 포트에 연결합니다.
3. 단자함 안의 나머지 선들을 D1 ~ D7 포트에 연결합니다.
• 이 선들이 각 방으로 가는 LAN선입니다.
• 어떤 선이 어느 방인지 확인해보신 후 연결하세요.
• 아까 뺐던 401번 선도 D1 ~ D7 중 아무 포트에 꽂아도 됩니다.
4️⃣ 테스트
이제 각 방의 LAN 포트에 노트북이나 컴퓨터를 연결해 보세요.
인터넷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연결 성공!
참고 팁
• D.IN = 데이터 입력 라인 (공유기 → 단자함으로 인터넷을 보내는 통로)
• D1 ~ D7 = 각 방으로 데이터를 분배하는 출력 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