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올해 겨울이 없을 가능성도 있나요? 시베리아 기단이 티베트 고기압을 못 밀어내면 이 이중 열돔도 사라지지

시베리아 기단이 티베트 고기압을 못 밀어내면 이 이중 열돔도 사라지지 않을 거고, 그러면 12월이나 1~2월에도 지금 같은 날씨 계속 될텐데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죠?

날씨경영컨설턴트 단비입니다.

올해 겨울이 아예 없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셨지만, 현재까지의 기후 전망과 대기 패턴을 보면 “겨울이 완전히 사라진다”는 시나리오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다만, 변수와 가능성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시베리아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 이중 열돔 구조

· 최근 우리나라를 덮은 “이중 열돔”은 시베리아 고기압(시베리아 기단)과 티베트 고기압(티베트 고원 상공의 열돔)이 동시에 힘을 쓰면서 한반도에 극심한 더위를 가져온 결과입니다.

· 겨울이 평년보다 짧거나 약해질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만약 시베리아 기단이 활발히 발달하지 못하고 남하하지 못할 경우, 찬 공기가 한반도까지 미치지 못하고 티베트 고기압 등 다른 열돔이 세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실제로 겨울이 없을 수 있는가?

· 기상청, NOAA, 다양한 국제기상기관들은 2024~2025 겨울 시즌에 대해 “라니냐(La Niña) 발생 가능성”을 주요 변수로 보고 있습니다. 라니냐 특성상 북동아시아(한반도 포함)에 찬 공기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고, 실질적으로 겨울이 오지 않는 해는 없었습니다.

· “시베리아 기단이 티베트 고기압을 밀어내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돼 현재와 유사한 더운 or 온화한 날씨가 12~2월까지 지속될 가능성은 극히 낮습니다. 이유는:

o 시베리아 고기압은 겨울철이 되면 지표면 냉각으로 매년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일정 이상의 세력은 거의 항상 발휘합니다.

o 만약 한파가 남하하지 않더라도, 북쪽의 차가운 공기가 점차 흘러내리면서 평년 수준 또는 약간 따뜻한 정도의 겨울은 나타납니다.

o 티베트 고기압이 계속 강할 경우 일시적으로 온화하거나 건조한 겨울이 나타날 수 있어도, 추위 자체가 완전히 사라진 적은 현대 기상 관측 이래 거의 없습니다.

3. 장기 전망: 올 겨울 날씨 예상

· 2025년 1~2월에도 특별히 “극값”을 기록할 정도의 혹한 혹은 혹서가 예측되지는 않지만, 겨울 한파, 영하권 기온 등 특유의 겨울 기상 현상은 여전히 반복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입니다.

· 북반구 전체적으로 올해 라니냐 패턴이 약하게 나타날 확률이 높아, 한반도 역시 찬 공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고, 북극 해빙 감소 등 멀리 있는 요인에 따라 “예년과는 다소 다른” 패턴(변덕스럽거나 기온 변동성 심함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단, 라니냐가 발달하지 않고 ENSO-neutral(중립 상태)이 장기간 유지될 경우 겨울 한파 빈도와 강도가 다소 약해질 수는 있으나, 이 역시 겨울이 없어진다는 의미와는 다릅니다.

정리하면:

· 올해 겨울이 아예 없을 가능성, 즉 12~2월에도 지금 같은 덥고 여름 같은 날씨가 지속될 시나리오는 실제 기후 시스템과 장기 예측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시베리아 기단이 약하더라도 계절 변화와 장기간에 걸친 고기압 발달 특성상 일시적 “온화한 겨울”은 가능하나, 겨울 그 자체가 사라지는 일은 없습니다.

· 향후 기상 모델 업데이트와 지역 장기 예보에 따라 추위의 강도와 형태만 달라질 수 있으니, 가을 들어 최신 기상청 및 국제기구 전망을 참고하여 대응 전략을 계속 업데이트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출처 : https://www.perplexity.ai/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