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적분과 기후 분석 정말정말 급해요 적분을 통해 강수량을 예측하는 식을 사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려고 하는데욤사진에 있는

적분을 통해 강수량을 예측하는 식을 사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려고 하는데욤사진에 있는 식을 사용하려고 하는데q(z):특정 습도,공기 1kg 중 수중기 비율p(z):공기밀도,공기 1m 안에 공기 kg기저~천정: 구름 두께 p와 q식 알려주실 수 있나요? 단순히 자료를 대입하는건 의미가 없어서 식을 구해야하는데 찾기가 힘드네요 ㅜ

사진이 안 보이는데, 강수량 예측에 쓰이는 식에서

  • q(z)q(z)

  • q(z) 는 특정 고도 zz

  • z 에서의 특정 습도 또는 공기 1kg 중 수증기 비율(혼합비)

  • p(z)p(z)

  • p(z) 는 특정 고도 zz

  • z 에서의 공기 밀도(kg/m³)

라고 하셨죠?

이 식들 구하는 공식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1. q(z)q(z)

q(z): 특정 습도 (혼합비) 구하는 식

혼합비 qq

q 는 공기 중 수증기 질량과 건조 공기 질량의 비율입니다.

q=mvmd=ep−e×ϵq = \frac{m_{v}}{m_{d}} = \frac{e}{p - e} \times \epsilon

q=md​mv​​=p−ee​×ϵ

  • ee

  • e = 포화 수증기압 (Pa)

  • pp

  • p = 전체 대기압 (Pa)

  • ϵ≈0.622\epsilon \approx 0.622

  • ϵ≈0.622 (수증기 분자량/건조 공기 분자량)

따라서

포화 수증기압 ee

e 가 필요하며, 이는 온도 TT

T 에 따라 계산됩니다.

포화 수증기압 계산 공식 (Tetens 공식):

es(T)=6.112×exp⁡(17.67TT+243.5)e_s(T) = 6.112 \times \exp\left(\frac{17.67 T}{T + 243.5}\right)

es​(T)=6.112×exp(T+243.517.67T​)

단, TT

T 는 섭씨 온도, ese_s

es​ 는 hPa 단위입니다.

ee

e 는 상대습도 RHRH

RH 를 고려하면

e=RH×es(T)e = RH \times e_s(T)

e=RH×es​(T)

2. p(z)p(z)

p(z): 공기 밀도 (kg/m³)

공기 밀도는 다음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에서 유도할 수 있습니다.

p=PRdTp = \frac{P}{R_d T}

p=Rd​TP​

  • PP

  • P = 대기압 (Pa)

  • RdR_d

  • Rd​ = 건조 공기 기체 상수 ≈287 J/(kg⋅K)\approx 287 \, J/(kg\cdot K)

  • ≈287J/(kg⋅K)

  • TT

  • T = 절대온도 (K)

실제로 고도 zz

z 에 따른 대기압 P(z)P(z)

P(z) 와 온도 T(z)T(z)

T(z) 를 알아야 합니다.

대기압 고도 공식 (국제표준대기):

P(z)=P0(1−LzT0)gMRLP(z) = P_0 \left(1 - \frac{L z}{T_0}\right)^{\frac{g M}{R L}}

P(z)=P0​(1−T0​Lz​)RLgM​

  • P0=101325 PaP_0 = 101325 \, Pa

  • P0​=101325Pa (해수면 기압)

  • T0=288.15 KT_0 = 288.15\, K

  • T0​=288.15K (해수면 온도)

  • L=0.0065 K/mL = 0.0065 \, K/m

  • L=0.0065K/m (온도 감소율)

  • g=9.80665 m/s2g = 9.80665 \, m/s^2

  • g=9.80665m/s2 (중력가속도)

  • M=0.0289644 kg/molM = 0.0289644 \, kg/mol

  • M=0.0289644kg/mol (공기 분자량)

  • R=8.31447 J/(mol⋅K)R = 8.31447 \, J/(mol\cdot K)

  • R=8.31447J/(mol⋅K) (기체 상수)

요약

  • q(z)=ep−e×0.622q(z) = \frac{e}{p - e} \times 0.622

  • q(z)=p−ee​×0.622, 여기서 e=RH×es(T)e = RH \times e_s(T)

  • e=RH×es​(T), es(T)e_s(T)

  • es​(T) 는 온도에 따른 포화 수증기압

  • p(z)=P(z)RdT(z)p(z) = \frac{P(z)}{R_d T(z)}

  • p(z)=Rd​T(z)P(z)​, P(z)P(z)

  • P(z) 와 T(z)T(z)

  • T(z) 는 고도 함수로 국제표준대기식 이용